• [칠정산내편/역일] 2. 천정경삭의 추산
    `공부´/ㄴ`칠정산´ 2021. 1. 6. 09:00

    원문 번역(고전번역원)

    천정경삭의 일분초(日分秒)

    중적(中積)을 놓고 윤응(閏應)을 더하면 윤적(閏積)이 된다. 윤적에서 삭실(朔實)을 거듭 덜어 내다가 남은 값이 곧 윤여(閏餘)이다. 천정동지(天正冬至)의 일분에서 윤여를 뺀 것이 곧 천정경삭의 일분초이다.

    (천정동지의 일분이 윤여보다 작아 윤여를 뺄 수 없으면 기법(紀法)을 더한 후 뺀다. 역원(曆元) 이전으로 올라갈 때는 중적에서 윤응을 뺀 값이 윤적이고, 윤적에서 삭실을 거듭 덜어 내다가 남은 값을 삭실에서 뺀 것이 윤여이다. 그다음은 앞의 과정을 따른다.)

    경현(經弦)ㆍ경망(經望)과 ‘다음 경삭〔次朔〕’의 일분초

    천정경삭의 일분초에 현책(弦策)을 천정경삭부터 구하고자 하는 경현ㆍ경망, 또는 다음 경삭까지 순서만큼 거듭하여 더한다. 이 값에서 기법을 거듭하여 덜어 내면 경현ㆍ경망과 다음 경삭의 일분초를 각각 얻는다.

    해설

    1. 앞에서 구한 중적에 '원동지 직전 삭에서 원동지까지의 시간'인 윤응을 더하면, 원동지 직전 삭으로부터 천정동지까지의 시간인 윤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.

      $$윤적_분=중적_분+윤응_분$$

    2. 윤적을 삭망월인 삭실로 나누어 남는 시간은 천정동지 직전의 삭으로부터 천정동지까지의 시간이 됩니다. 이것을 윤여라고 합니다.

      $$윤여_분=윤적_분\mod\,삭실_분$$

    3. 천정경삭의 일진을 구하기 위해 천정동지일의 일, 분, 초에서 윤여를 뺍니다. 분 단위를 일 단위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10000으로 나누면 됩니다.

      $$천정경삭_일=천정동지_일-윤여_일$$

      만약 구한 천정경삭 값이 0보다 작다면, 이 값에 기법 60을 더해 이전 갑자 주기의 일진을 구할 수 있습니다.

    4. 역원 이전에 대한 계산일 경우, 거산을 음수로 두고 계산하면 중적이 음수일 것입니다. 나머지는 동일하게 계산합니다.

    5. 삭망월을 4로 나눈 현책을 연속해서 더함으로서 순서대로 상현, 망, 하현, 다음 달 삭을 구할 수 있습니다.

      $$경현·망·차삭_일=(천정경삭_일+N×현책_일)\mod\,기법_일$$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